웹(Web)/백엔드(Backend)
하드코딩하면 안되는이유
SK_MOUSE
2021. 7. 15. 14:22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VzsXPR25pYw
- 백엔드 개발자는 아래 두 종류로 나뉜다.
- 알고리즘+최적화
- JSON+I/O(DB설계도 같이 관여)
=> DB설계를 어떻게 해야되는지..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봐보기
- 자기 PR 못하는사람은 업무일지를 작성해보기.
=> 어떤 요구, 회의가 오갔는지, 시스템의 주요 개념단위가 어떻게 정리되었는지 등등
- 내가 백엔드 개발자면, 개념을 정립해서 설계를 주도권을 쥐고 전파해주면 좋다.
=> FE개발자와 협업할때의 상황을 보자.
기획자에게 계획을 받았으면 설계도부터 그려서 기획자가 의도한 바가 맞는지 요구사항을 확립한다.
그리고 프론트개발자에게 api등을 정리해서 전달해준다.
하드코딩 X, 기획서작성하고 테스트케이스 작성해서 만들어내야함.
- SI 개발자를 피해야되는 이유
하드코딩을 하면서, 서비스모델의 방향을 알 수 없다. 그리고 개발자가 하드코딩을 하면 만들면서 리뷰 불가능.
밥만 먹고 퇴근하는게 목적이 될 것이다...
ex) ~하면 ~해서 사용자가 이탈할 것 같습니다 라는 피드백이 없어짐..
"이렇게 개발하기 좋다"라는 개발철학이 있는 것이 좋다. 그리고 그것을 어필하자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