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본 글에 앞서, 사내 업무 보안 내용을 준수하였으며, 대외적인 FDS 관련 구글링 및 금융 지식을 바탕으로 본 글을 작성함을 밝힙니다.
1. FDS란?
: Fraud Detction System(금융업에서는, '이상거래탐지 시스템'으로 주로 일컫는다.)
흔히, 필자는 FDS를 일반인들에게 설명할 때 이해를 위해 아주 극단적인 예시로 설명하곤 한다.
예를들어, 80대 할머니가 새벽1시에 아프리카티비같은곳에서
별풍선 100만원어치를 충전했어.
그럼 이상한 거래임을 일반적으로 알잖아?
그걸 차단하는 시스템이라고 가볍게 이해해보자.
위와 같은 말로 좀 유머스럽게 설명하곤 한다..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2/large/004.png)
#확장
은행으로 치면 출입금,
카드로 치면 결제승인,
증권으로 치면 매수매도
등을 FDS의 예시로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.
물론, 그 외에도 각 업무에 따른 Fraud한 상황은 정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, 새로운 업무가 생기면 그에 대한 Risk도 FDS에서 잡기 위해 점점 확장되고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.
#FDS의 4가지 요소
1.수집 : 대량의 거래 데이터가 수집
2. 분석 : 고객-거래 관계 분석, Graph모델 기반 데이터 정보 분석 등 머신러닝으로 분석하며 룰을 만들기도 함.
3. 대응 : 이상거래 적발에 관한 사전/사후 예방 방식 등이 있으며, BL(BlackList)에 대한 처리방식을 말함.
4. 모니터링 : 고객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이상거래 탐지를 위한 추적 및 감시체계를 말함.
2. 국내 금융 FDS 현황
국내에서는 2014년 은행을 비롯한 여러 금융업계에서 FDS 구축을 진행했었고, 약 10년의 시간이 흘렀다. 그동안 노후화된 시스템과 새롭게 추가된 룰/인공지능/API/데이터처리 기술 등의 IT 기술을 바탕으로 여러 금융업에서 '재구축'을 진행하고 있는 추세이다.
그 외에 '페이'와 같이 결제 방식을 가진 회사나 커머셜업체 등 FDS는 점점 도입되고 있다.
'Securit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RAML(FDS+AML)이상거래탐지와 자금세탁방지의 융합 (0) | 2024.04.20 |
---|---|
SpringBoot로 Log4j 취약점(Log4shell) 공격,방어 실습 (0) | 2022.01.19 |
암호화1. 암호화방식(단방향, 양방향(대칭키, 비대칭키)) (0) | 2020.12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