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음은 코드의 변수선언 설명이다. 기본 board 를 2차원 배열로 변환한 배열=> grid[m][n] 한 시행으로 동시에 삭제해야될 것들 위치 저장할 배열 => check[m][n] 1. board배열을 2차원배열로 변환한다. 2. 우선 (i,j)의 위치에서 (i,j+1),(i+1,j),(i+1,j+1)에 있는 것과 일치하면 check배열에 true로 위치를 기록한다. 3. 다음은 check배열을 순회하는데, 각 열별로 순회를하면서 지우지않아도 되는값만을 Queue에 넣어서 저장해놓는다. 동시에 check=true인 부분은 answer++를 해준다. 4. 저장해놓은 Queue를 poll()하면서 배열을 아래부터 채워올라오고, Queue.size()가 0이면 그부분부터 윗부분까지는 '@'로 채워준다. 5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