웹프레임워크(ex) Spring, Django )을 통해서 정적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.
SPA(홈페이지는 그대로인데 내용만 바뀌는것)는 정적사이트(전체페이지가져옴)를 보완하기 위해 AJAX를 통해 구현함.
하지만, SPA를 위한 프레임워크가 있음(JS로 구성된 Angular, React, View)를 통해서 만들 수 있다.
따라서, 웹 페이지를 구축할때는 아래와 같이 한다.
프론트- JS를 이용한 React/Vue/Angular 로 웹페이지 만들기
백엔드- Java+SpringBoot로 구축
=> 왜 React/Vue/Angular로만 만들지 않는가? : 대표적으로 DB를 연결하려면 Spring이 필요하다.
즉, DB외에도 다른 서비스들을 연동하려면 백엔드단으로 따로 나누어 Spring의 도움이 필요한것으로 추측한다.
=> 그럼 예를들어 Vue.js를 사용한다고 하면, Spring과 어떤 방식으로 연결하는가?
예를 통해서 설명해보겠다.
#EXAMPLE
1. Visual Studio에서 Vue.js를 통해 동적인 웹페이지를 개발한다.
-> localhost 8080
2. Intellij에서 Java Spring Boot를 통해서 DB연결과 같은 서버 쪽을 개발한다.(mysql이랑 연동시켜놓고 sqlmapping으로)
-> localhost 9000
3. Vue.js(8080)에서 Spring(9000)에 연결을 하여 DB와 같은 것들을 가져오게 한다.
axios통신으로 Vue에서 연동할 수 있다.
4. 이렇게 연동된 것을 웹서버에 올린다.
-> 이부분은 추후에 다루도록 하겠다.
<영상참고>하면 React + SpringBoot + Mysql 의 활용도를 알수 있다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hHRLN9j1kqI
'웹(Web) > 백엔드(Backend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하드코딩하면 안되는이유 (0) | 2021.07.15 |
---|---|
[JAVA] Spring boot 공부방향 (0) | 2021.06.21 |
객체지향 디자인패턴1 feat.예시로 이해 (0) | 2021.04.25 |
스프링 XML --> JAVA Configuration으로 변경 (0) | 2021.04.19 |
스프링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객체생성/초기값(@Value) (0) | 2021.04.19 |